반응형
[오전수업]
[평덴조]
ㆍ천장 작업시에 우물 천장을 작업하는 경우에 우측 사진처럼 우물 천장에 사용할 상들을 1차 천장 작업시에
넣어야 한다. (...새까맣게 잊어버리고 그냥 작업했다.. ㅎㅎ)
[천장 치기]
ㆍ수평보기 (천장 높이 2300)
└ 2300에 천장을 만든다고 가정하면 레벨기로 2300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높이에 레벨기를 놓고
해당 레벨기 높이에 기준 먹을 치고 2300까지 높이를 측정하여 4면에 천장 높이를 표시한다.
ㆍ장선의 길이가 길어지면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장선받이를 만들어 받친다.
└ 장선받이에 들어가는 목재는 천장을 치는 목재보다 두꺼운 것을 사용하고 합판보를 이용하여 많이 만든다.
장선받이는 4면에 다루끼를 먼저 박고 장선받이를 올린 다음 나머지 장선들을 박아 넣는다.
[석고보드 둥글게 자르기]
ㆍ석고보드를 둥글게 자를 때는 석고보도의 두께보다 깊게 mdf에 못을 박아서 중심을 석고보드에 박아 자른다.
[오후수업]
[도면작도]
ㆍ1점 투시도와 2점 투시도를 이용하면 입체감을 매우 많이 줄 수 있다.
반응형
'취업을 향한 나의 공부노트 > 목수학교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목수학교 일기 #38 -_건축목공기능사, 세트장 천장작업_- (1) | 2023.05.31 |
---|---|
청년목수학교 일기 #37 -_세트장, 우물천장, 건축목공기능사_- (2) | 2023.05.30 |
청년목수학교 일기 #35 -_세트장, 합판수직잡기, 석고치기_- (1) | 2023.05.25 |
청년목수학교 일기 #33 #34 -_마법망치, 천장, tan, 곱나더나, 세트장_- (3) | 2023.05.23 |
청년목수학교 일기 #32 -_도마만들기_- (4) | 2023.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