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을 향한 나의 공부노트/Hammer study

Hammer Study

by Vast._.info 2023. 4. 23.
반응형

저희를 주마다 알려주시는 현직 목수 마법망치님의 블로그를
매일 목수학교 출근 시간 동안 하나씩  보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곳입니다.
이미 다른 정보에 들어간 내용들은 뺏습니다.

 

https://blog.naver.com/ahrtn66

마법망치의 내장 목수 교과서 : 네이버 블로그

마법망치의 내장 목수 교과서 작가 겸 내장 목수 반장 이 일헌 새로운 길을 가면서 나는 오늘도 고민한다! 옳은 길일까?

blog.naver.com

 

[ 테이블 쏘를 이용한 다양한 각도 절단법 ]

ㆍ조건 : 톱날 ~ 보조가이드 거리 = 판재 절반길이
ㆍ주의점 : 자재의 모서리 부분이 잘리지 않도록 한다.
 
< 공식 >
ㆍ45 º 미만 tan(가공각도) * 판재 절반길이 = 보조 경사 가이드 판재의 높이         
     └ 이때 톱날과 보조 경사 가이드 사이의 거리는 판재 절반 길이이다.
  
ㆍ45º 이상 tan(90 - 가공각도) * 판재 절반길이 = 톱날에서 보조 경사 가이드 판재의 거리
     └ 이때 보조 경사 가이드의 높이는 판재 절반 길이이다.
 

 
 

[ 계단 ]

예시) 상부타공치수 700x1600
          높이 2700
          계단 최대길이 1800
          슬라브두께 300
 
ㆍ계단의 일반적인 높이 : 160~190mm (200mm ↓)
     └ 보통의 주택 층고 2600-2700 → 16단 높이 162.5mm    14단 높이 185.7mm
     └ 폭의 너비 계산 : 1800(최대 길이) / 15 첫단이 1800에 설치 → 120mm  
 
ㆍ단너비 : 250~300mm
ㆍ계단참 : 계단사이에 면접이 넓은 칸 : 폭 900~1200mm (보통 1000mm)
ㆍ제일 마지막 계단이 옥상 바닥이면 층의 수에 포함하지 않고 계단 넓이 계산에는 포함한다.
 
 

[ 목수가 자주 사용하는 수학 모음 ]

[삼각함수 sin]
    └ 삼각함수 sin은 원점에 대칭인 함수이고 2π 마다 같은 함수값을 가집니다.
    └ 일반적으로 사이에 끼인 각을 구하고 싶을 때 쉽게 계산기를 이용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 θ = asin(y/10)
   

[삼각함수 tan]
    └ 삼각함수 tan는 계단 1칸의 시작점 다음 1칸의 시작점을 선으로 이었을 때 사이각을 구할 때 등등 사용된다.
 
 

[ 삼각비를 이용한 원의 반지름 구하기 ]    23.4.25

ㆍ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선과 수직선을 긋고 수평선을 위로 올리면 모양은 같지만 길이가 다른 삼각형이 생긴다.

ㆍ삼각비 : H : h = L : l
ㆍ비례식에서 내항의 곱 = 외항의곱        L * h = H * l   이라는 공식이 생성된다.
 
ㆍ내가 궁금한 값이 x이고 원의 반지름이라면  L=( H * l ) / h   ( H = I 이므로 H * H , l * l 로 치환이 가능하다. )
ㆍ위 공식을 통해서 L값을 안다면 h값과 합쳐 반으로 나누면 원의 반지름을 확인할 수 있다.
 
∴ 삼각비를 통한 원의 반지름은 ((H * H / h) + h ) / 2       OR    ((I * I / h) + h ) / 2 로 정리된다.
     └ 한글로 표현하면 ( (수평반값*수평반값) / 높이) / 2 

 쉽게 정리하면 (H×H + h×h) / 2h
 

[ 타원 그리기 ] 23.05.01

1. 내가 원하는 장축과 단축을 알고 있을 때 타원의 단축 꼭지점에서 장축의 길이와 같은 접선을 그어 수평선과 만나게한다.
2. 단축에서 그은 두 접선과 장축이 교차하는 점에 피스를 박고 단축한점에도 피스를 박는다.
3. 3개의 피스를 연결하는 실을 연결하고 단축의 피스에 걸린 실을 뺀다.
4. 장축에 걸린 실한쪽을 빼서 실을 늘리면 장축의 길이와 같은지 확인한다.
5. 길이가 맞다면 장축 양단에 실을 연결하고 실에 펜을 연결하여 타원을 그린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