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업을 향한 나의 공부노트/목수학교 일기

청년목수학교 일기 #6 -_초보목수용 필독, 스케치업_-

by Vast._.info 2023. 4. 10.
반응형

[오전수업]

[초보목수가 많이 하는 작업]

 

[줄자]

ㆍ엄지와 검지로 줄자의 줄을 잡고 나머지 3개의 손가락으로 줄자를 감싼다.

ㆍ줄자 회수시 끝을 잡으면서 회수한다. (끝의 손상 및 손의 부상 방지)

ㆍ줄자가 꺾여있거나 찢어져있다면 사용하지 않는다. (손 부상 유발)

ㆍ항상 어떻게 실측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ㆍ값은 정면에서 읽어주는 게 좋다.

 

[먹작업] (정확한 작업요구)

ㆍ준비물 : 먹통, 먹물, 빗자루, 줄자, 필기구, 레이저레벨기, 물통, 경우에 따라 각재

 

 

[기준먹]

     └ 모든 작업의 기준

     └ 골조에 이미 쳐져있는 경우가 많다.

 

 

[기준먹 설치 방법]

     └ 신축의 경우 형틀목수가 이미 해놓는 경우가 대부분

     └ 직각 잡는 방법 : 레벨기 아래점을 내가 원하는 곳에 두고 레이저를 맞춘다. (레이저 오차점검 필요)

                                           └ 레벨기 점검방법 : 3번만 돌려보면서 점이 맞는지 확인한다.

     └ 레벨기가 없는경우 : ①가장 긴 벽을 기준 평행한 2선을 긋는다.

                                         ②원하는 지점에 점(점 A)을 찍는다.

                                         ③수직을 만들기 위한 점(B점)을 찍는다.

                                         ④점A,B를 이용하여 피타고라스를 이용해 직각을 잡아 기준 먹을 긋는다.

                                         응용 방법 : 1:1: 2 이용한 계산방법

 

[작업먹]

     └ 작업을 하기위해 치는먹

 

[작업먹 설치 방법]

     └ 작업먹 설치 전에는 소재에 대한 공부를 해야 먹작업이 가능하다.

     └작업 먹을 치기 위해서 도면을 본다면 도면에는 마감치수가 되어있을 것이다.

         (마감치수는 MDF, 석고보드, 단열재 등등 모든 마감까지 끝났을 때의 두께)

         (따라서 제일 처음에 설치하는 자재의 치수로 먹작업을 해야 한다. 그래야 마감을 했을 때 마감치수와 일치가 가능)

 

 

[높이에 대한 작업] (허리먹, 고시먹, 레벨먹)

     └ 기포먹 : 경량 콘크리트 먹

     └ 방통먹 : 방바닥 미장을 위한 먹 (중요)

 

[먹 사용 시 TIP]

     └ 먹은 면에 직각으로 때린다.

     └ 먹은 내가 보기에 작업 시에 보기 가장 좋은 곳에 친다.

     └ 너무 정확하게 하려고 애쓰지 마라.(허용오차가 있다.)

     └안 보이는 곳은 지저분하더라도 튼튼하게!

     └ 보이는 곳은 깔끔하게! 

     └ 옆 (요꼬), 세로(다데)

     └ 먹을 먹이기 전에 줄자로 치수를 표시하는 V자 연습은 필수!!

     └ V자를 표시할 때 각재의 두께를 고려해서 그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먹통 파지 방법]

     └먹통 파지는 한 손으로 실의 탄력 조절이 가능해야 한다.

     └한 손으로 잡고 회전체를 잡아서 고정한다.

     └ 자기 장구는 자신이 고칠 줄 알아야 한다. 미리미리 연구하는 것이 중요!

 

[오늘 연습한 먹작업 + 석고보드 칼 긋기]

 

[오후수업]

오늘 오후수업은 먹작업 칼 긋기 작업 이후에 잠깐 진행해서 진도량이 많지 않았습니다.

 

[스케치업] [오늘 수업 때 진행한 과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