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향한 나의 공부노트/목수학교 일기

청년목수학교 일기 #50 -_마법망치 목수님, 계단, 호리존_-

Vast._.info 2023. 6. 27. 19:55
반응형

[오전수업]

 

[계단복습]

※ 계단 설치는 지속적인 오차수정의 과정이다. ※

ㆍ계단의 높이 측정 : 마감 ~ 마감  ∴ 마감재의 파악이 중요하다.

ㆍ디딤판의 위치에 따라 나누는 수가 달라진다. (디딤판의 상단 슬라브에 어떻게 붙어있느냐? )

     └ 디딤판의 넓이는 평균값으로 계산한다.

ㆍ먹을 칠 때는 마감재와 디딤판의 두께를 고려해서 설치한다.

ㆍ걸레받이 조깃대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합판 또는 MDF 뒤에 다루끼를 대어서 조기대를 만들고 그림을 그린다.

     └ 상부 두께 = 80(걸레받이 두께) + 38(받침목 두께) 

ㆍ스킬쏘를 이용해서 디딤판을 절단하거나 걸레받이를 제작하는 경우 자재 적재 시에 다루끼를 끼워놓고 작업하면 편리

     └ 스킬쏘로 절단시에는 자르는 방향과 날두께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ㆍ디딤판의 홈을 파는 방법 = 루타 or  홈파기 대패

     └ 깨끗한 두면이 계단에 보이는 면으로 가도록 하고 홈을 파는 것이 좋다.

ㆍ계단을 만든 후에는 다른 공정을 통해서 자국이 남거나 할 수 있으므로 보양을 통해 이를 방지한다.

ㆍ걸레받이를 시공시에는 걸레받이의 상단부에는 타카를 쏘지 않고 하단부에 쏴서 고정한다.(충분히 고정 가능)

 

 

[계단 제작시 여러 가지 고임목 설치 방법]

①합판 딱지

②레미탈 + 다루끼

③합판딱지 + 다루끼

ㆍ아래에 아무런 지지없이 중간에 다루끼를 댄다면 하자가 발생할 확률이 아주 높다.

 

[구조목이 없는 계단 제작]

ㆍ개꾸미 제작은 계단 걸레받이와 방식이 동일하지만 상단부와 하단부에 두께를 조절해야 한다.

 

 

[계단의 수]

ㆍ층과 층 사이에 존재하는 벽체의 길이에 따라 계단의 개수를 조절한다.

ㆍ계단 시공시에 계단참이 필요하다면 계단참을 처음에 만들고 이것을 기준으로 나머지 계단들을 제작한다.

 

[계단 상단 개구부 크기]

ㆍ계단 상단의 개구부 끝점에서 마지막 계단까지 높이가 190cm를 넘도록 한다.

     └ 올라갈 때 머리를 부딪히지 않고 내려올 때 이마가 깨지지 않도록 한다.

 

[오후수업]

 

[톱질]

ㆍ톱질시에 면적을 좁게 두고 자르면 잘 썰려 나간다. 처음에 큰 면적을 평평하게 잘라나가기는 매우 어렵다.

     └ 그림과 같은 방식으로 잘라나가면 편리하다.

 

 

[망치질]

ㆍ망치를 내려칠 때는 망치의 끝에 힘을 주는 것이 아니라 망치를 그대로 앞쪽으로 던져 넣는다는 느낌으로 친다.

ㆍ못을 칠 때는 못이 박혀있는 구멍을 보고 치는 것이 좋다.

ㆍ못이 기울어졌다면 못이 기울어진 기울기만큼 망치도 기울여서 박으면 된다.

 

 

[호리존 제작]

ㆍ호리존은 사진관 등에서 선과 그림자가 보이지 않도록 곡선 작업을 하는 것을 말한다.

ㆍ호리존 제작 시 호리존의 반지름, 나누고 싶은 구간수를 이용해서 제작이 가능하다.

     └ 구석에 세우는 기둥은 구간수 +2개이다.

ㆍ호리존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 가운데 기다란 기둥모양이 휘어져서 구석에 들어가는 형태입니다.

ㆍ제작 시에 트리머를 이용해서 하나의 틀을 만든 후에 타카핀으로 고정 후에 정베어링이 있는 날을 이용해 만든다.

호리존 계산기 마법망치 이일헌 목수님 블로그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ahrtn66/222907367589

 

 

[대동자 소동자]

ㆍ상부 대동자의 길이 < 하부 대동자의 길이

ㆍ대동자들은 계단의 첫 칸 마지막칸에 붙여서 턱을 까서 시공한다. 하자가 없고 튼튼하게 만들기 위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