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향한 나의 공부노트/목수학교 일기

청년목수학교 일기 #45 -_마법망치 목수님_-

Vast._.info 2023. 6. 12. 23:07
반응형

[콘크리트 구조물이 있는 계단]

ㆍ골조 계단의 높이가 다른 경우가 有

ㆍ금속골조 계단은 잘된 경우가 多   금속골조 계단은 사전에 어떻게 할 것인지 조율이 필요하다.

 

[계단 만들기 필요지식]

①바닥 마감재의 높이에 먹치기

②바닥 마감재 ~ 다음층 마감재까지의 높이 알기★★

③단높이 갯수를 세어야 한다. (실수를 줄이기 위함)

④단높이와 계단 재료의 두께를 알았다면 [계단부재 두께 + 디딤판 아래 부재 높이] 만큼 내려준다. (실제먹의 위치)

     └ 예시 : 계단부재 30mm or 38mm 합판 12T → 42mm or 50mm 내린다. (CAD, 스케치업)

⑤디딤판 넓이 =  Σ전체 디딤판 넓이 / 디딤판 갯수

     └ 디딤판 평균이 253이라면 보통 250 디딤판의 개수*3 만큼 첫 번째 디딤판을 빼주어야 한다.  (오차 방지)

 

 

 

ㆍ합판+디딤판 작업 : 합판을 작업하면 같은 계단을 2번 만드는 셈이다.

ㆍ최종 마감 자리는 미리 말해주면 다른 공정에게 편하다.

ㆍ높은 위치의 마지막 계단은 디딤판은 마감재 높이만큼 파낸다.

ㆍ계단의 수직 수평 그림과 같이 먹금 OR 표시를 통해 대각선의 길이를 맞추어 확인한다.

 

 

[계단의 형태]

ㆍ중간 부분의 디딤판들의 형태이다.

     └ 홈을 파주는 이유는 첼판과 디딤판들의 변형을 예상하고 계단이 벌어져도 계속 붙어있도록 하는 작업

     └ 그리고 계단의 홈은 벽에 붙는 부분은 상관없지만 측면에서 계단이 노출된 경우 홈은 끝까지 파지 않음(막힌 형태)

ㆍ계단참 형태 (계단참은 계단이 여러 층일 때 계단의 넓은 부분을 의미한다.)

     └ 다음과 같은 형태의 묵재를 이어 붙이는 형태이고 연결부에서 2mm 정도 뜨도록 한다.

 

ㆍ최상부 계단의 형태

     └ 마지막 계단은 피스를 박아서 빈부분을 미장을 채워 나중에 목재의 변형을 예방한다.

     └ 마지막 디딤판은 마감재 두께만큼 홈을 파주면 마무리 작업이 수월하다.

 

[첼판의 높이 측정하는 방법]

ㆍ아래 그림에서 첼판의 높이는 170이고 두 디딤판 사이에 홈의 길이를 측정하고 싶다면 2개 디딤판을 붙여 측정

 

 

[계단 타공시 작업하는 방법]

ㆍ파란색 = 본드위치

ㆍ보라색 = 타카 쏘는 방향

 

[용어정리]

ㆍ하스리 : 콘크리트 쳐내기 작업

ㆍ캐링 : 전산볼트에 걸리는 철판

 

 

[걸레받이]

ㆍ걸레박이 만든 후에 혼자 작업한다면 2개의 위치에 못을 박아서 걸레받이를 걸고 작업하면 편리하다.

     └ 디딤판을 붙이기 전 높이에 맞게 합판딱지를 붙여놓고 작업

     └ 나무를 박고 박은 나무옆에 디딤판을 이어서 박아 작업하기도 한다.

 

 

 

ㆍ걸레받이 제작 시에 디딤판넓이 단높이를 계단과 같이해서 만든다. 가공방법

      └ 너비와 높이의 대각선 길이를 구해서 대각선 길이만큼 분할해서 선을 긋는다.

      └ 길이가 긴 놈을(디딤판넓이) 먼저 맞추고 짧은 길이를 맞추어 잘라낸다.

      └ 상부에 걸레받이 두께 +디딤판 두께만큼 표시하고 자른다.

      └ 하부에는 끝부분에 수직선을 긋고 만나는 점에서 다시 수직선을 긋는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