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목수학교 일기 #41 -_마법망치, 문짝, 문틀, 기둥, 경첩_-
[오전수업] [with 마법망치 목수님]
신축건물 공사순서 : 먹 → 바닥 → 벽 → 천장 → 칸막이 → 문틀 → 문짝
기존건물 공사순서 : 먹 → 문틀 → 바닥 → 벽 → 천장 → 칸막이 → 문짝
[문틀]
종류 | 소재 | 규격 | 특징 |
원목문틀 | ㆍ홍송 라왕 미송 외엔 기성품x |
- | 특정 소재를 제외하고 기성품이 없고 규격도 적음 공장에 주문해야 솔리드 원목 문틀 및 문짝 가능 |
PVC문틀 | 합판 or 코어합판 | 110 140 170 200 | 가틀과 본틀(캡형식)로 구분 ┗ Why? 미장 등 마감작업 수월 ┗ But! 마감작업은 수월하지만 2번 작업을 해야한다. |
ABS발포 문틀 | ㆍ발포우레탄 ㆍ합판철판필름 |
110 130 140 155 175 195 210 230 245 |
현재 신축공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 문틀이 규격화되어 폭은 변경할 수 없음 벽두께, 어떤 작업을 하냐에 따라 달라진다. |
래핑문틀 | 미송 or 라왕 or 집성목 + 인테리어 필름 |
ㆍ통문틀 ㆍ스토퍼형 ![]() |
색상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어 인기 신축공사보단 칸막이 공사에 많이사용 |
현장가공문틀 | 합판 or 집성목 or 자작나무 (MDF X ) |
최대치수 이상 경우 | ①기성품으로 불가능한 경우 ②최대치수를 넘어가는 경우 ③길이가 넘어가는 경우 합판으로 작업하는 경우 2PLY (타공작업 고려) |
ㆍ문틀들의 공장 최대 가공규격은 245이다.
[문틀 고려사항]
① 폭, 가로, 세로, 식기(문턱) 유무
② 마감이 무엇인가?
③ 떡가베 작업 시 1 PLY인가? 2 PLY인가? (매지 형성시 2PLY 작업)
└ 2 PLY 작업후에 2PLY 두께 딱 맞게 작업하면 후작업 마감 X 좀 더 나오게 작업한다.
[용어정리]
ㆍ견출 : 콘크리트면을 갈고 시멘트물을 발라 면을 바르게 하는 작업
ㆍ식기 : 문턱
ㆍ방통 : 방바닥 미장
ㆍ기포 : 시멘트 + 공기방울
ㆍ2 연동 (미닫이) 3 연동 (미서기)
ㆍ댐퍼, 양댐퍼, 단댐퍼
└ 슬라이딩 도어에서 일정구간 진입 후에 속도를 늦춰주고 완전히 닫히거나 열리는 기구
└ 호차 조절방법은 닫히는 면을 기준으로 맞춰서 왼쪽으로 닫는데 상단이 오른쪽으로 기운다면 좌측 호차를 쳐서 올린다.
└ 슬라이딩 도어는 높이, 바닥높이를 알아야 부속, 문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 점검부가 있어야 수리 보수에 용이하다.
[문짝]
종류 | 소재 | 특징 |
원목문짝 | 홍송 오크 체리 느티 라왕 미송 |
ㆍ철물을 사용하지 않고 목재를 가공하여 장부조립을 통해 만들어 가공 제작이 어렵고 품질 보증이 어렵다. ㆍ습도에 약해여 변형이 쉽고 도아다리도 다른 문틀보다 두께를 더주고 만든다. ㆍ이지경첩보다는 나비경첩으로 시공해야한다. |
합판문짝 | 각재 + 합판 | ㆍ현장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마감재로 다시 마감작업을 해야한다. ㆍ기성품 주문제작 현장제작이 모두 가능하다. ㆍ변형이 적고 마감재에 따라서 습기에 강하다. |
도장문짝 | 합판,멤브레인 ABS문짝 등을 도장 마감 |
ㆍ멤브레인, MDF 문짝은 도장의 상태에 따라 습기에 강할수도 약할수도 있다. ㆍ가능하면 ABS문짝에 도장작업을 하면 품질이 좋아진다. |
ABS문짝 | 합성수지 | ㆍ문짝을 설치하는 평균온도 22.5도를 기준으로 8mm를 빼고 설치하면 좋다. ㆍ습기에 강하지만 온도의 변화에 약하다 여름~겨울 2~4mm까지 움직임 └ 여름엔 빡빡하게 겨울엔 널널하게 하는 것이 좋다. |
무늬목도어 | 원목을 얇게 켜 문짝에 붙임 | ㆍ합판문짝의 장점을 더하고 원목 문짝의 단점을 보완한 제품이다. |
멤브레인문짝 | MDF 고압성형 필름마감 |
ㆍMDF와 같이 고압 성형으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저렴하다. ㆍ습기에 약해서 습기가 많은 곳에서는 하자가 발생할 수 있다. ㆍ사무실 가정에서 방의 문으로 많이사용 한다. ㆍ햇빛이 강한곳은 떨어질 수 있다. |
[문틀 발주와 설치]
1. 바닥수평
2. 옆면수평(상하 기울기)
└ 측면 레벨기를 켜서 맞춘다.
3. 정면수평(좌우 치우침)
4. 문틀고정(우레탄폼)
└ 상단과 하단은 잘 고정된다 중간 부분에 배가 나올 수 있으므로 나무로 고정하고 폼을 쏜다.
└ 문틀의 경우 폼을 쏘면 넘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후공정 고려)
5. 문짝달기
└ 문틀설치는 문을 손으로 들고 쏘는 것이 아니라 기울여서 발을 이용해서 단다
└ 마법망치 목수님의 기준 이쁜 경첩의 위치 상단 두 개가 주축이어서 상단부에 2개이다.
6. 문틀 문짝 발주
① 사이즈 833*2055(일반문) 733*2055(화장실)
② 양면에 엣지 해달라고 하면 해준다.
③ 원하는 타공위치
[경첩]
ㆍ피스순서
└ ①맨 위 1개 → 맨 아래 1개 박고 진행
②피스를 박고 문의 상단 하단 문틀에 뜨는 곳이 무조건 생긴다.
③문에서 위쪽이 붙고 아래가 뜬다면 상단 경첩을 조절하고
④문에서 아래쪽이 붙고 위가 뜬다면 하단 경첩을 조절한다.
⑤이후에 나머지 피스들을 박아준다.
ㆍ나비경첩
└ 50KG 이상무게 문틀 문짝 모두 파줘야 한다.
ㆍ이지경첩
└ 문틀 문짝을 팔 필요 없다. 간격은 아래 그림과 같다.
ㆍ자유경첩
└ 그림 소재를 미리 깎아야 한다.
ㆍ숨은경첩 설치 및 계산법은 마법망치 목수님 블로그 참고
└ 경첩의 보임을 없애기 위함
└ 따라서 문을 밖으로 여는 경우에 사용하고 안으로 미는 경우에는 숨은 경첩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ㆍ싱크경첩
└ 문짝 18mm 15mm 따라 다르다.
└ ※싱크 경첩 구멍 위치는 문짝이 두꺼우면 간격이 커진다. (내부 쪽 21.5mm 외부 쪽 25mm)
└ 문짝의 크기에 따라 경첩의 수가 달라진다.
ㆍ이지경첩
└ 문틀을 설치하고 문짝을 설치 시에 현장제작 문짝이라면 한쪽면에 밀착하여 평이 잘 맞는지 잘 확인한다.
└ 식기가 없이 바닥 수평이 맞으면 어느 정도 상관없이 5~10mm(+3mm) 정도 띄운다.
└ 바닥 수평이 맞지 않으면 열었을 때 바닥에 닿을 수 있으므로 문 바닥을 일자로 깎아낸다.(일자 하는 이유 닫으면 티 남)
└ 일자로 깎아내면 엣지를 주문한 것으로 다시 붙여주면 된다.
ㆍABS문짝 : 한여름 6mm 정도 한겨울 9mm 정도
ㆍ합판문 : 상관없음
[문래버]
ㆍ모티스는 깊이가 90mm 넘는다.
└ 문짝 주문 전에 손잡이가 무엇인지 호가인해서 모티 스면 하드웨어 주문 후에 문짝공장에 보내서 주문한다.
ㆍ60mm가 표준이다. 높이는 950
[타카심]
ㆍFST : 오래된 콘크리트에 사용 12mm 합판에 18mm 쏴서 고정하고 다른 걸 쏜다.
ㆍDT : 나무
ㆍST : 콘크리트
[기둥 돌리기]
ㆍ좌우 600 이하 높이 2440 이하 경우 스터드를 이용하지 않고 합판 딱지와 합판만을 이용해도 충분하다.
└ 여기서 합판 딱지는 12t 이상 합판
ㆍ벽의 모서리를 둥글게 치는 경우
└ 타카핀을 박는 순서는 ①②③ 순서대로 쏴 주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평행하게 이동하기 힘들다.
ㆍ원형 기둥을 두르는 경우
└ 타카핀을 박는 순서는 상단 100 하단 200 상단 200 하단 200 순서대로 이동한다. 조금씩 맞춰나가는 방식
└ 둥근 곳을 두를 때 선생님께서는 r값 305인 경우 톱금을 20mm마다 r값↓ 간격↓ (물에 담그면 잘 휜다.)
ㆍ사각형 기둥을 둥글게 두르는 경우
└ 기둥의 상단과 하단의 길이를 모두 알아서 측정하고 대각선의 길이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