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향한 나의 공부노트/목수학교 일기

청년목수학교 일기 #28 -_마법망치, 벽체작업, 톱질, 세트장_-

Vast._.info 2023. 5. 15. 22:03
반응형

[오전수업] [with 마법망치 목수님]

                                 ㄴ "내장목수는 본인이 가능하다고 생각이 드는 것이라면 만들 줄 알아야한다."

 

[벽체 = 가베작업]

 

ㆍ벽체 작업 시에는 2가지 생각 : ①벽체 속에 무엇이 들어갈 것인가?     ②마감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

ㆍ장선사이에 박는 중간 받침목 : 기루꾸미

 

1. 벽에 기준이 되는 테두리를 돌린다.

2. 작업을 하는 벽의 들어가고 나옴을 확인하고 먹을 친다.

     └ 먹작업은 이후에 작업할 것을 생각하여 작업 시에 항상 보기 쉽게 친다.

3. 벽에 먹을 치고 받침목을 박는다.

4....(끄적)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본적인 벽작업 방법]

ㆍ현장에서 가장 많이 만날 수 있는 벽체 방법이고 가장 얇은 방법이다.

ㆍ벽체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서 불균형한 정도에 따라 간격을 넣어준다.

 

[떡가베 작업]

ㆍ정의 : 콘크리트와 석고보드 사이에 석고본드를 이용하여 벽에 밀착시공하는 시공방법

ㆍ준비물품 : 프라이머 G-3  (떡가베 시공 전 콘크리트 벽에 석고상 간격으로 도포)

ㆍ떡가베 작업은 본드 두께 10mm + 석고보드 간격 10mm 정도로 생각하여 20mm 정도로 규격을 생각한다.

ㆍ떡가베 작업 시에 그림과 같이 내부벽에 양쪽 모두 떡가베를 작업한다면 미리 문틀간격을 계산이 가능하다.

     └ 다른 추가적인 작업이 들어간다면 또 다르게 문틀규격을 생각해야 한다.

 

 

[단열재]

ㆍ종류 : 스티로폼, 열반사 단열재, 온돌이, 우레탄폼, 아이스핑크, 스카이비바, 유리섬유, 글라스울, 비닐 등이 있다.

ㆍ단열재의 효과 내단열 < 외단열

     └ 내단열을 열심히 하고 외단열을 하나도 하지 않는다면 콘크리트에서 추위가 그대로 전달되어 내부 벽에 결로발생

 

[합지작업]

ㆍ석고보드+단열재 미리 붙여 단열을 하는 작업

 

 

[흡음재]

ㆍ표면적이 클수록 소음이 감소한다.

ㆍ단열재보다 사이 여유공간이 필요하다.

ㆍ종류 : 유리섬유, 글라스울, 비닐, 인슐레이션 등이 있다.

 

 

[벽체지식]

ㆍ합판 + 타일 = 하자 가능성 大

ㆍ석고보드 + 타일 = 하자 가능성 小

       └ 석고보드가 변형률이 적다.

ㆍ루바 작업 시에는 석고보드 위에 작업하는 것을 권하지 않고 바로 벽체 기둥에 작업하는 것을 추천

ㆍ사이딩 작업 시에는 항상 빗물이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흘러 내려가도록 사용 자제를 고려하여 작업한다.

 

ㆍ벽체 작업시에 옹이의 존재로 목재가 많이 휜 상태이고 대체할 나무가 부족하다면 톱질을 넣어 나무를 펴는 방법이 있다.

ㆍ벽체는 천장과 다르다. 벽체는 보통 석고 2 ply를 이때 한자상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자반상 450mm)

ㆍ미서기 : 창문과 같이 문과 문이 겹쳐지는 형식

    미닫이 : 슬라이딩 매입식 도어와 같음

ㆍ패널 : 음식점과 같은 곳에 벽체 하부에 하는 작업

ㆍ빵작업 : 벽체 퍼즐느낌 작업

 

 

ㆍMDF는 최소 중밀도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ㆍ본인이 어떤 작업에 대한 궁금증이나 작업의 순서에 궁금증이 생긴다면 스케치업을 통해 실제작업하듯이 만들어봐라

 

[타카 지식]

ㆍ422 타카 위아래로 기우는 것은 큰 영향이 없으나 양옆으로 기우는 것은 안된다.

ㆍ타카 작업 시에 타카건으로 누르지 말고 손으로 눌러주면서 타카건은 박을 벽체에 얹어주기만 한다.

ㆍ콘크리트는 오래될수록 강도가 강해진다. 따라서 내가 벽체든 무엇이든 작업 시에 오래된 콘크리트에 작업시

    타카핀의 길이를 줄이는 것이 작업에 좋다.

     └ 강도가 너무 강해서 힘든 경우에는 fst를 이용해 합판을 박고 작업하는 경우도 있다.

 

 

 

 

 

 

 

 

 

[칸막이]

ㆍ마루에서 멍에 아랫부분을 제외한 상단을 세워놓은 구조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숨은 경첩]

ㆍ최근에 많이 사용하는 경첩 히든도어에 많이 사용한다.

 

 

[삼각비]

ㆍ삼각비 공식은 아래 그림에서 간단하게 설명하였습니다.

ㆍ간단하게 외우려고 한다면 긴변(A) * 짧은변(B') = 긴변(B) * 짧은변(A') 입니다.

ㆍ삼각비는 다양한 경우에 사용하지만 간단한 예시를 들자면 휠체어 이용하는 분들을 위한 대체 계단 제작을 들 수 있음

 

 

 

 

[톱질]

ㆍ톱질은 어떤 톱을 사용하냐?  어떤 재료를 자르느냐에 따라 소리가 모두 다르다.

      └ 초보때에는 가장 잘 잘리는 감을 익히고 소리로 확인한다. 잘 잘리는 감을 익히고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좋다.

 

 

 

[오후수업]

[세트장 작업]

ㆍ어떤 작업 가운데서 기존에 작업보다 좋은 작업이 생각난다면 그 작업으로 변경하여 시공한다.

ㆍ다리가 정사각형이라면 상하좌우의 흔들림을 모두 보강가능하지만 투바이는 세우는 방향에 따라 흔들림 제어가 다르다.

     └ 따라서 다리를 교차해서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