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목수학교 일기 #12 -_벽틀 설치방법, 드릴원리, 스케치업_-
[오전수업]
[건축목공시공 벽틀 설치 연습]
ㆍ한쪽면을 기준으로 작업하는 것이 좋다.
ㆍ처음에 ㄷ자로 먼저 만든 후에 하나씩 끼워가는 것이 작업이 편리하다.(ㄷ → ㄸ 이런 식으로)
ㆍ틀을 만들 때 조립할 때는 상판에 표시한 부분에 설치 시 실치하는 각재의 중심을 상판 선과 일치하게 조립한다.
ㆍ일정한 간격으로 틀을 만들 때 계산하는 방법
└ 아래 그림처럼 있을 때 상판길이에서 한쪽 끝단에 들어가는 각재의 두께를 빼고 원하는 구역수만큼 나누어준다.
└ 식 : (900 - 27) / 3 ( IF : 상판 900 두께 27 원하는 구역수 3 )
└ 이렇게 해서 값이 나왔다면 이 값은 아래그림 기준으로 왼쪽 끝에서 각재들의 왼쪽 끝자락이 나온 것입니다.
ㆍ작업대에 올려놓고 긴 각재를 톱으로 절단해야 하는 경우에는 절단면과 가까이에 받침을 높고 톱질을 하는 것이 좋다.
└ 작업대의 끝에서 공중에 띄워 서하면 어렵고 다 잘려가는 도중에 꺾이면서 각재가 뜯길 수 있다.
└ 받침이 3개가 있다면 1,2,4 4개가 있다면 1,2,3,4 다하는 것이 좋다.
[각 면에서 재단하는 방법]
ㆍA면
└ 석고상 간격 300mm는 상판 기준으로 끝에서 측정했을 때 300mm, 600mm ㆍㆍㆍ 간격으로 작업하는 것이다.
└ 여기서 저는 양단 끝에 나무를 박으면 간격이 이상해질 것 같아서 고민했지만 상관없다고 하셨습니다 ㅎㅎ
ㆍB면
└ B면은 C면, A면 사이에 존재하는 면으로 양쪽 두께만큼 뺀 길이가 900mm가 나와야 한다.
└ 그래서 계산한 값이 806mm이다.
└ 일정한 간격 식 적용 : (806-28)/3 = 259.333
ㆍC면
└ C면은 다루끼가 아니라 투바이로 작업한 것 B면, D면과 달리 900mm 재단하여 사용
└ 일정한 간격 식 적용 : (900-27)/3 = 291
ㆍD면
└ D면은 C면, A면 사이에 존재하는 면으로 양쪽 두께만큼 뺀 길이가 900mm가 나와야 한다.
└ 일정한 간격 식 적용할 필요 없이 중심에 박으면 끝입니다.
[피스를 박았는데 중심이 길이가 마음에 안 드는 경우 해결법]
ㆍ원래 박았던 판에 구멍이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같은 구멍으로 들어가려고 한다.
└ 이럴 때에는 대패로 조금 두껍게 나무 조각을 만들어서 구멍에 넣어서 메꿔 주면 같은 구멍으로 들어가지 않는다.
[드릴의 원리와 이해]
[목피스와 직결나사의 차이]
종류 | 목피스 | 직결나사 |
나사산간 간격 | 비교적 넓다 | 비교적 좁다. |
└ 이유는 쇠와 나무의 밀도차이 그래서 직결용을 데크에 사용하면 잘 빠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
||
ㆍ목피스는 상판의 3배정도의 피스길이 사용해야 충분히 안전감을 가진다. |
[64mm 이상으로 피스 상단에 민무늬 존재이유]
└ 헤드가 상판으로 들어가서 뒤판을 당겨서 뽀뽀하는 원리인데 민무늬가 있지 않으면
계속 들어간 후에 뒤판을 밀어내는 힘이 증가한다.
[작업 시에 나사산의 80%만큼 보링 후에 작업하면 끝단에 부서짐을 방지 가능]
└ 보링의 이유 : 1. 결구 방해 해소 2. 가쪽으로 갈수록 압력의 증가로 쪼개짐 가능성 증가 이것을 억제
ㆍ얇고 긴 구멍을 뚫어주는 건 육각렌치로 열어서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ㆍ피스 헤드 부분을 만들어주는 두 번째 부분은 아래그림의 부분을 돌려서 조절이 가능하다.
[오후수업]
[스케치업]
[회전]
└ 객체 선택(스페이스 상태) → Q(회전) → 중심축선택 → 돌리기 시작할 지점 선택 → CTRL → 원하는 각도입력 → *,/
[이동 (복사이동)]
└ 그대로 이동하길 원하는 축이 있을 때 이동후에 화살표로 축을 선택하여 작업하면 편리하다.
[사각뿔 올리기]
└ 그림과 같이 사각형의 평면에서 대각선들을 연결하고 중심점에 선을 Z 축으로 연결한 다음 선을 당기면 완성된다.
[책상다리 넓이 줄이기]
└ 그림과 같이 다리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다리의 한지점에서 선을 그어주고 원으로 표시한 부분의 선을 선택해서
이동하면 길이가 다리의 넓이를 줄일 수 있다.
└ 대칭이동을 원한다면 객체를 선택하고 우클릭 대칭이동
[사진 가져오기]
└ 파일 → 가져오기 → 파일선택 (이미지, 텍스트 등 선택)
└ 객체를 누른 후 S를 누르면 전체 스케일을 조절 가능하다.
[책상 옆면의 무늬 만드는 방법]
└ 책상의 다리 넓이를 제외한 부분의 반넓이를 원하는 모양을 만들 사진에 축적하여 만드는 것이 대칭복사 시에도 좋음
└ 무늬는 사진에 사각형을 씌우고 X선 시점에서 그림을 따라 그린다.
└ 그룹에서 푸시풀을 원하는 경우에는 그룹편집에서 하면 쉽게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