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목수학교 일기 #4 -_끌, 타카, 도면_-
[ 오전수업 ]
[ 끌 ]
ㆍ나무, 돌,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료를 드레싱, 성형 또는 가공할 때 망치와 같이 사용
ㆍ새로운 각재들은 먼저 대패질을 해서 면을 매끄럽게 만들어줍니다.
ㆍ연귀자나 다른 측정도구들을 이용해서 원하는 만큼의 선을 그어줍니다.(연귀자, 자유자)
[ 끌 주의사항 ]
ㆍ끌이 나가는 방향에 손을 두지 않는다.
ㆍ시작점에서 바로 시작하지 않고 2mm 정도 떨어져서 시작한다.(시작점 시작 시 뭉개질 수 있음)
ㆍ한 번에 깊게 하려고 하지 말고 조금씩 퍼낸다는 느낌으로 사용한다.
ㆍ구멍을 완전히 뚫지 않는다면 끌을 눕혀 밀어내면서 바닥을 다진다.
ㆍ옆면은 왼손으로 받쳐주면서 끌을 기대서 밀어준다.
[ 끌 사용법 ]
[ 오후수업 ]
[ 전동공구 ]
[타카]
ㆍ콘크리트타카 = 대타카 = CT64
└ 심이 나무에 박는건 납작하다.
└ 심이 콘크리트에 박는건 동그랗게 생김
└ 나무심 : DT64 DT50 콘크리트심 : ST50 ST45 (숫자는 mm 의미)
[422타카]
└ ㄷ자 타카라고도한다.
└ 두께 4mm 길이 22mm ㄷ자 심을 사용
└ 좀 더 넓은 심도 존재 넓은 심은 석고보드에 사용하기 좋다.
[F30타카]
└ 표면에 흔적을 최소화하고 싶을 때 사용
└ MDF 9미리 박을 때 사용
└ 심 : F18 F30 F50
[실타카 630 650]
└ 못머리가 없고 앞뒤 구분은 앞이 뾰족하다.
└ 흔적을 정말 거의 남기지 않는 곳에 사용한다. (몰딩)
[네일건 = 못총 = 타정기]
└ 못을 집어넣는 방식이 아래에서 집어넣는 방식
└ 안전장치가 총열입구에 쪽에 있어서 원하는 위치에서 눌러주면서 쏜다.
[에어컨프레셔]
└ 실습했던 장비는 당기면 켜지고 밀면 꺼진다.
└ 압력계 : 1개는 타카를 쏠 때마다의 압력 1개는 탱크의 압력
└ 돌리는 손잡이를 돌리면 한 번에 배출된다.
└ 압력조절 공기압은 빨간색 가지 않도록 한다.
└ 공기통 밑에 코르크같이 생긴 게 있는데 용도는 안에 찬 물을 빼주는 역할
└ 공기압을 다 배출하고 공기압 바늘이 0인 것을 확인하고 물을 배출한다.
[ 설계도면 ]
ㆍ미서기문 : 문을 닫으면 문의 크기만큼 겹친다.
ㆍ미닫이문 : 100% 다 열고 닫을 수 있다.
ㆍ도면에 WㆍHㆍD = 너비ㆍ높이ㆍ깊이
[스타코플렉스]
└ 건물 마감 시 많이 사용하는 재료 외단열로 열효율, 표면 결로방지
[징크]
└ 아연 성분을 함유하여 뛰어난 내부식성을 가짐
[도면 기호]
[용어 정리]
GL : Ground level : 현재 지반의 레벨
EL : Elevation level : 어떤 지점의 레벨값 또는 측량해 본 결과의 값 또는 도면에서 요구하는 레벨값
FL : Final level : 도면에서 요구하는 최종 시공 후의 레벨값을 말합니다.
SL : Structural level : 구체레벨
P.S : PIPE SHAFT : 기계설비에서 각종 배관들의 입상관을 위한 공간
P.D : PIPE DUCT : 급수배관, 배수배관, 오수배관, 소화용 배관 등이 있습니다.
A.D : AIR DUCT : 각종 통기관과 배기덕트, 정화조통기관
S.T : SMOKE TOWER : 지하 3층 이하 11층 이상일 때 설치하는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에 설치되는 강재배기관
EPS : ELECTRICAL POWER SYSTEM : 전기설비에서 각종 전기배관들을 위한 공간
D.A : Dry Area : 지하층 등의 실내 환기를 목적으로 만드는 외기와 접하는 공간
타이벡 : 투습 방지 방습제
EPS 단열재 : 스티로폼 단열재 매쉬미장 : 망사 + 미장 튼튼해짐
글라스울 : 유리섬유 단열재 (R??) 치수 + 단열정도
STUD SPF : 벽재 기둥
CELINGJOIST : 천정 장선 구조재
SMC마감 : 화장실 마감
CON'C : 콘크리트
P.E 필름 : 건물 바닥 기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