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향한 나의 공부노트/목수학교 일기

청년목수학교 일기 #3 -_대패, 수공구, 전동공구, 도면_-

Vast._.info 2023. 4. 5. 20:32
반응형

[ 오전수업 ]

[ 대패 ]

└ 갈아내기, 평평하게 깎아내기

나무의 뒤틀림 평조절 

 

[대패집]

     └ 오래쓰면 닳고 휘어진다.

     └ 대패 사용전에 날이 들어가기전 아래면의 평이 맞는지 자로 확인한다.

     └ 필요한 만큼 갈리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연필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대패날]

     └ 날은 0.05mm ~ 0.2mm정도 나오도록 한다.

     └ 너무 많이 나오면 당겨지지 않는다.

     └ 대패날은 뺄 때 날을 손가락으로 눌러주면서 날경사대로 뒷부분을 친다.

     └ 덧날이 어미날을 넘어가지 않도록한다.

     └ 덧날과 어미날이 이격이 없이 딱 붙어야한다.

     └ 평소 사용시에는 덧날과 어미날 끝의 이격을 1mm정도로 한다.

     └ 덧날이 대패밥 방향을 꺾어 말아 켠다.

     └ 대패질시 가시같이 나오는 면을 덧날이 최소화 시킨다.

[대패날 구조]

     └ 대패날의 뒷면은 움푹 들어가 있음

     └ 얇은 대패날(하이스날) : 전부가 강도가 강하다.

     └ 보통 대패날 : 일정 부분만 강도가 강한 쇠이고 나머지는 무르다. (접합 따라서 층이 보임)

 

[대패질]

     └ 결을 맞게하면 덧날이 없어도 잘 깎인다.

     └ 1번 그림과 같이 순결방향으로 가공할 경우 잘 깎인다.

     └ 2번 그림과 같이 엇결방향으로 가공할 경우 잘 깎이지 않는다.

     └ 3번 그림과 같이 순결과 엇결이 공존하는 경우 양방향으로 대패질을 해야합니다.

     └ 4번 그림과 같이 심재를 바라보며 대패질을 하는 경우 바닥에서 꼭짓점으로

                                         변재를 바라보며 대패질을 하는 경우 꼭짓점에서 바닥으로

 

     └ 부재면에 묻은 흙이나 먼지, 못, 철물 제거

     └ 부재의 모서리를 손가락으로 눌러 뒤틀림을 조사한다.

     └ 나뭇결 방향을 보고 나뭇결 따라 대패질을 한다.

     └ 대패바닥면보다 손가락이 더 내려가지 않게한다.

     └ 대패머리부분을 부재의 끝부분보다 더 넘어가서 시작한다.

     └ 단단한 부재는 천천히, 연한 부재는 빠르게 한다.

     └ 팔의 힘으로 하지 말고 전체의 힘으로 한다.

     └ 거스러미나 옹이가 있어도 자신의 키 정도는 한번에 깎는다.(옹이는 빗당겨치기로 깎는다.)

     └ 넓은 판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날 넓이에 1/3~1/4씩 걸쳐 깎는다.

     └ 목재가 밀리지 않도록 한쪽 모서리를 고정한다.

     └ 우선 기준면을 깎고, 두께를 잡고, 옆면을 깎고, 머구리면을 깎는다.

                                                └ 선을 그어 확인      └ 직각 확인(직각자)

 

     └ 대패날을 확인 할 때는 시선과 대패밑면을 동일하게하여 확인한다.

     └ 날이 너무 튀어 나온다면 옆면을 쳐서 조절한다.

 

 

대패의 밑면은 날기준으로 짧은쪽이 좀더 파여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오후수업 ]

[목공구의 종류]

└ 목수에게 있어서 연장을 빌르는 것은 실례다.

└ 목수는 반듯한 선, 수직, 수평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연귀자]

   └ 각재등 면적이 좁고 작은것들에 사선을 그리는 것이 편리하다

   └ 내부 직각 확인

   └ 외부 직각 확인

   └ 사선 그리기

   └ 높이 확인

   └ 직각선 그리기

 

[조합자]

   └ 내부 직각 확인

   └ 외부 직각 확인

   └ 같은 치수의 반복 표시

   └ 직각선 그리기

   └ 사선 그리기

   └ 높이 확인

 

[자유자]

   └ 임의의 각도로 조정하여 마름질 할 때 사용

   └ 각도를 옮겨 그을 때 사용

 

[버니어캘리퍼스]

   └ 물체의 길이, 깊이, 내경, 외경 등을 측정하는 용도

   └ 측정방법 : 아들자의 0정 눈금이 어미자의 어디에 와있는지 읽는다.

                        어미자와 아들자의 눈금이 일치하는 부분을 읽는다.

 

 

[그무게]

   └ 일정한 간격으로 선을 체크할 때 사용

 

 

 

[실톱]

   └ 복잡한 외부 모양과 내부 컷 아웃을 절단하는데 사용

   └ 굵을수록 곡선을 자르기 힘들다.

 

 

[쥐꼬리톱]

   └ 판재에 구멍을 꿇고 원형이나 곡선을 자를 경우 사용

 

[배대패]

   └ 밑면이 배모양으로 되어 있어 목재의 곡면을 깎을 때 사용

 

 

[남경대패]

   └ 평면이 아닌 곡선을 다듬는데 사용

 

 

[턱대패]

   └ 목재의 가장자리에 각지게 턱을 만들때 사용

 

 

[모서리대패]

   └ 모서리를 라운딩시 사용

출처 : https://www.tigerdiy.com/data/item/1244696112_m

 

 

[대패집 고치기 대패]

 

 

[전기대패]

 

[수압대패]

   └ 평면을 잡은 목재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목재를 일정한 두께로 만드는데 사용

 

[자동대패]

   └ 목재를 일정한 두께로 깎아 내거나 평평하게 가공할 때 사용

 

[ 건축도면 ]

참고해서 공부해보자!

https://blog.howbuild.com/post/22

 

9강:설계도면 보는법(2) 평면도

어렵지 않은 설계도면 평면도 보는법

blog.howbuild.com

 

얼마나 알고 있는지 쪽지시험 봤는데.. 공부좀 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ㅋㅋㅋ

설계도면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호

 

반응형